오늘 개성서 '백두산화산' 2차회의
페이지 정보
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1-04-12 09:25 조회1,345회 댓글0건본문
기사입력 2011-04-12 06:00 | 최종수정 2011-04-12 07:53
공동연구 등 협력사업 합의도출 주목
(서울=연합뉴스) 이귀원 기자 = 백두산 화산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제2차 남북 전문가회의가 12일 오전 10시 북측 지역인 개성 자남산여관에서 열린다.
수석대표인 유인창 경북대 지질학과 교수를 비롯한 우리 측 대표단 4명은 이날 오전 7시20분께 서울 삼청동 남북회담본부를 출발해 오전 8시45분께 군사분계선(MDL)을 넘어 개성으로 갈 예정이다.
우리 측은 1차 회의 때와 마찬가지로 백두산 화산활동과 관련한 실태 파악에 주력하기로 했다.
지난달 29일 도라산 남북출입사무소에서 열린 1차회의에서 우리 측은 공동연구에 앞서 자료교환 등을 통한 사전연구 필요성을 강조했지만, 북측은 전문가 간 학술토론회와 현지답사 방식의 공동연구 방안을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.
이번 회의에서 북측이 우리 측 요구를 적극적으로 수용할 경우 학술회의 개최나 현지답사에 대한 의견 접근을 이룰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.
전문가 회의가 진전되면 '백두산 화산'을 주제로 한 당국 간 회담으로 이어져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도발로 꽉 막힌 남북대화 분위기 조성에도 일조할 것으로 보인다.
우리 측 대표단은 1차 회의에 참석했던 유 수석대표를 비롯해 김기영 강원대 지구물리학과 교수, 이윤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, 이강근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등이다.
북측에서는 단장인 윤영근 지진국 산하 화산연구소 부소장(지진국 부국장 겸임)과 장성렵 화산연구소 실장, 주광일 조선지진화산협의회 위원 등 1차회의 대표단이 그대로 나올 예정이다.
남북 전문가회의는 북측이 지난달 17일 지진국장 명의로 백두산 화산과 관련한 협력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협의를 하자며 우리 측 기상청장 앞으로 통지문을 보내면서 시작됐다.
국내 지진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백두산 인근 지역에서 화산가스인 이산화황이 분출되고 있다며 백두산 화산 폭발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. 일부 전문가는 2014~2015년 백두산 재폭발을 주장하고 있다.
lkw777@yna.co.kr
<저작권자(c)연합뉴스. 무단전재-재배포금지.>
공동연구 등 협력사업 합의도출 주목
(서울=연합뉴스) 이귀원 기자 = 백두산 화산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제2차 남북 전문가회의가 12일 오전 10시 북측 지역인 개성 자남산여관에서 열린다.
수석대표인 유인창 경북대 지질학과 교수를 비롯한 우리 측 대표단 4명은 이날 오전 7시20분께 서울 삼청동 남북회담본부를 출발해 오전 8시45분께 군사분계선(MDL)을 넘어 개성으로 갈 예정이다.
우리 측은 1차 회의 때와 마찬가지로 백두산 화산활동과 관련한 실태 파악에 주력하기로 했다.
지난달 29일 도라산 남북출입사무소에서 열린 1차회의에서 우리 측은 공동연구에 앞서 자료교환 등을 통한 사전연구 필요성을 강조했지만, 북측은 전문가 간 학술토론회와 현지답사 방식의 공동연구 방안을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.
이번 회의에서 북측이 우리 측 요구를 적극적으로 수용할 경우 학술회의 개최나 현지답사에 대한 의견 접근을 이룰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.
전문가 회의가 진전되면 '백두산 화산'을 주제로 한 당국 간 회담으로 이어져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도발로 꽉 막힌 남북대화 분위기 조성에도 일조할 것으로 보인다.
우리 측 대표단은 1차 회의에 참석했던 유 수석대표를 비롯해 김기영 강원대 지구물리학과 교수, 이윤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, 이강근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등이다.
북측에서는 단장인 윤영근 지진국 산하 화산연구소 부소장(지진국 부국장 겸임)과 장성렵 화산연구소 실장, 주광일 조선지진화산협의회 위원 등 1차회의 대표단이 그대로 나올 예정이다.
남북 전문가회의는 북측이 지난달 17일 지진국장 명의로 백두산 화산과 관련한 협력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협의를 하자며 우리 측 기상청장 앞으로 통지문을 보내면서 시작됐다.
국내 지진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백두산 인근 지역에서 화산가스인 이산화황이 분출되고 있다며 백두산 화산 폭발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. 일부 전문가는 2014~2015년 백두산 재폭발을 주장하고 있다.
lkw777@yna.co.kr
<저작권자(c)연합뉴스. 무단전재-재배포금지.>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